top of page

이  명

 

이명은 외부로부터의 소리자극이 없는 데도 귀 혹은 머릿속에서 소리가 난다고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마치 팔과 다리의 통증이나 두통과 같은 증상이며, 질환은 아닙니다.


이명증은 우리 주변의 90%이상이 경험하는 아주 흔한 증상입니다. 전체 인구의 17% 정도가 이명증으로 생활의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이 중 5% 정도는 심한 이명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수이비인후과병원에서는 환자의 청각적 의학적 검사를 토대로 하여 이명의 기전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합니다.
이명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명의 정도에 따라 치료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이를 통하여 이명에 대한 공포를 없애주어

내부의 적이 아니라 머릿속의 음악으로 승화시켜줍니다.

이명의 원인

 

이명은 질환이 아닌 증상이기 때문에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청신경, 뇌 등의 소리를 감지하는 신경 경로와

이와 연결된 신경 계통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비정상적인 과민성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소음에 의한 내이손상,

머리외상, 노인성 난청, 메니에르병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명 재활치료

 

이명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기초로 이명에 대한 뇌의 습관화 과정을 통하여 환자가 이명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이명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엄격한 평가를 통해 치료 계획을 세운 후

개인별 상담을 통한 재훈련, 소리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상담을 통한 재활 치료

 

이명과 정서적인 연계성을 제거하여 습관화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명에 의해 변연계가 자극받지 않도록

적정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환자에게 청각과 이명의 기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이명에 대한 불필요한 공포를 없애줍니다.
이명에 대해 ‘내부의 적’으로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머리 속의 음악’으로 반응하도록 도와줍니다.

소리를 통한 치료

 

이명의 정도에 따라 소리발생기나 보청기를 사용하여 적절한 외부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이명의 감지 정도를

감소시켜줍니다.
중추신경계의 변화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소리발생기를 착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소리발생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하루에 적어도 6시간 이상 착용하도록 하며 조용한 환경에서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이명의 습관화 과정은 약 1년 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