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 수 이비인후과
축농증 (부비동염)
축농증은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서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부비동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을 말합니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자연공)을 통해 코 속과 연결 되어 있고 이를 통해 공기의 환기와 분비물의 배설을 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축농증(부비동염)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되고
누런 콧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더욱 악화되는 질환입니다.
증상의 기간에 따라 3주 이내이면 급성 부비동염, 3개월 이상이면 만성 부비동염으로 구분됩니다.
급성 축농증은 권태감, 두통, 미열과 함께 코막힘, 콧물과 부비동 부위의 통증이 발생됩니다. 만성 축농증은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등이 생기며 더 진행하면 후각 감퇴, 두통 및 집중력 감퇴 등이
나타납니다. 초기에 치료하지 않을 때에는 목이나 귀에도 영향을 미쳐 후두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나
중이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수이비인후과에서는 막혀있는 부비동의 자연공을 열어주어 부비동의 환기와 배설 기능을 회복시켜주고 유지하는
것을 치료원칙을 삼고 있습니다. 물혹 같은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3, 4주 정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급성 축농증은 약물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약물치료나 부비동 세척 등의 치료법으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만 축농증 내시경 수술 및 축농증 풍선 수술을 실시합니다.
부비동염(축농증) 원인
-
감기에 의한 급성비염
-
인두 및 치아감염
-
알레르기, 수영, 외상, 악안면기형
-
구조적 이상 : 비중격만곡증 등
-
비강내 종양으로 인한 폐쇄
-
급격한 기온과 습도의 변화, 대기오염, 비위생적인 생활환경, 비타민 등의 영양장애
-
유전적인 요소
-
급성 부비동염의 방치 또는 장기화
-
급성 염증이 반복될 때
부비동염(축농증) 치료 및 수술
수이비인후과병원에서는 부비동염은 물혹 같은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3, 4주 정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급성 축농증은 약물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약물치료나 부비동 세척 등의
치료법으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만 축농증 내시경 수술을 실시합니다.
축농증 내시경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콧속을 직접 들여다보면서 병이 생긴 조직이나 물혹을 제거하고
부비동의 배출구를 넓혀 환기 및 배설의 기능을 회복시켜주고 유지시켜줍니다. 별도의 피부절개 없이 비강을
통해 수술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심하지 않습니다. 수술은 30, 40분정도 소요가 되며, 심각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은 없습니다. 축농증 수술은 ‘수술이 반이고 수술 후 치료가 반’이라고 하듯이 수술 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후 환자 스스로 부비동 및 비강을 세척하여 청결한 비강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점막의 재생을
촉진하여 수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부비동염(축농증) 풍선 카테터 수술(일명 축농증 풍선수술)은 작고 유연한 풍선 카테터를 콧구멍을 통해 부비동
입구에 밀어 넣은 다음, 풍선을 부풀어 오르게 하여 막혀있는 부비동 입구를 넓혀줌으로써 부비동에 쌓인 고름
등을 원활히 배출시키는 방법입니다. 축농증 풍선수술은 최소침습수술로 25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수술을
끝낼 수 있고, 수술 후 예후도 상당히 좋습니다. 또한 퇴원이 가능하고 생활에 바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연령에 상관없이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과 무통치료에 가까울 만큼 통증이 적다는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아울러 외래 통원치료, 출혈 등의 부담이 적어 수술에 대한 부담도 획기적으로 줄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