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 수 이비인후과
갑 상 선
갑상선은 목 앞 중앙에 있고 앞에서 보면 나비 모양으로 후두와 기관 앞에 붙어있는 내분비기관입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대체로 만져지거나 눈에 띄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면 커지게 되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의 주된 역할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한 후 체내로 분비하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갑상선기능항진증(그레이브스병) 및 갑상선기능저하증(하시모토갑상선염), 갑상선결절 등이 있습니다.
수이비인후과에서는 갑상선 기능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합니다. 몸 안에 갑상선호르몬이 과다하거나
부족해지면서 생기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정확한 검사와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연령, 발생원인,
증상의 정도 등의 여러 가지 상황들을 다각도로 판단하여 질환에 맞는 치료를 실시합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란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보다 많이 나와 몸에 갑상선호르몬이 너무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그레이브스병, 갑상선결절, 갑상선염 등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그레이브스병입니다.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염의 초기증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
-
식욕은 왕성하나 체중은 감소하고, 손이 떨리고 심장이 빨리 뜀.
-
월경량이 줄어들고 간격이 길어짐.
-
갑상선이 커져 목의 아래쪽이 튀어나와 보임.
-
피부가 얇고 부드러워짐.
-
머리카락이 가늘고 잘 부스러지고 근육이 약해짐.
-
그레이브스병이 원인인 경우엔 눈이 커진 것처럼 보이고 눈이 튀어나오기도 함.
갑상선기능항진증 진단 및 치료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진단은 매우 간단합니다.
혈액을 채취하여 갑상선기능검사를 하며, 보조적으로 초음파검사, 동위원소촬영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치료법은 크게 약물치료, 방사성 요오드 요법, 수술 요법이 있습니다. 치료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는 환자의 연령, 원인, 병의 심한 정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수술로 갑상선을 많이 잘라 내거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에 생깁니다.
이런 치료를 받지 않고 저절로 생기는 경우엔 갑상선에 염증이 생긴 상태인 갑상선염 때문입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
-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온몸의 기능 저하
- 쉽게 피로해짐
- 추위를 많이 느끼며 집중이 잘 안됨
- 기억력 감퇴
- 피부가 건조해지며 거칠어지고 색은 누렇게 변함
- 얼굴과 손발이 부음
- 식욕 감퇴, 체중 증가
- 월경량 증가 및 불규칙 양상
- 목소리가 쉬며 말이 느려지고 소화가 잘 안되어 변비가 생기기도 함
갑상선기능저하증 진단 및 치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진단은 혈액을 채취하여 갑상선기능검사를 하며,
보조적으로 초음파 검사, 동위원소촬영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치료법은 부족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것이 치료의 기본입니다.
원인에 관계없이 처음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점차 늘려 가는데 갑상선호르몬수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때까지 4~6주 간격으로 기능검사를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